전체 | 문화 | 탐사 | 명물 |
시티투어 |
전남 신안군에서는 오염되지 않은 자연그대로의 생태를 만날 수 있다. 태평염전을 비롯한 짱뚱어다리, 우전해수욕장, 증도갯벌전시관으로 이어지는 대표코스를 따라 여행하다보면 도시에서는 겪을 수 없는 자연으로 인해 힐링되는 타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된 영영축성비는 경상도 관찰사 겸 대구도호부사였던 민응수가 대구읍성을 쌓은 뒤 그 규모와 공사과정을 기록하여 세운 비로 비문에는 임진왜란으로 허물어진 대구읍성의 공사기간과 동원된 인원, 성의 자세한 건축사항들이 기록되어 있다.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된 영영축성비는 경상도 관찰사 겸 대구도호부사였던 민응수가 대구읍성을 쌓은 뒤 그 규모와 공사과정을 기록하여 세운 비로 비문에는 임진왜란으로 허물어진 대구읍성의 공사기간과 동원된 인원, 성의 자세한 건축사항들이 기록되어 있다.
주소대구광역시 수성구 팔현길 248 (만촌동)
연락처053-666-2171(수성구청)
대구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된 대구부 수성비는 경상도관찰사 겸 대구도호부사였던 김세호가 경상감영의 성을 보수한 뒤 그 사실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성을 보수하기까지의 기관과 보수과정, 누각의 이름 등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비문의 글씨는 절충장군 최석로가 썼다.
대구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된 대구부 수성비는 경상도관찰사 겸 대구도호부사였던 김세호가 경상감영의 성을 보수한 뒤 그 사실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성을 보수하기까지의 기관과 보수과정, 누각의 이름 등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비문의 글씨는 절충장군 최석로가 썼다.
주소대구광역시 수성구 팔현길 248 (만촌동)
연락처053-666-2171(수성구청)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