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시, 늦가을 도시 건축물과 경관의 아름다움을 즐겨요! 
                
            
        
				
                진안군, 7080 감성 더한 가을 마이산 ‘7080 감성축제 
                
            
        
				
                구미시, '라면 스트리트 475’에서 즐기는 '오리지널 라면축
                
            
        
				
                물억새 은빛 물결 향연, 김해 화포천으로 떠나볼까! 
                
            
        
				
                서초구, 전통말과 AI 로봇말의 만남! 양재 말죽거리 축제 개
                
            
        
				
                화성시 향남오토캠핑장, ‘2025년 친환경 공공 우수야영장’ 
                
            
        
				
                평창군, 산지에서 바로 담그는 김장! 고랭지김장축제11. 5~
                
            
        
				
                가을 정취 담은 국화의 향연,  서산국화축제 7일 개막
                
            
        
				
                 정읍시, ‘내장산 단풍 + 농촌체험’ 농뚜레일 기차여행 11
                
            
        
				
                순창 코리아 떡볶이 페스타, 11월 15~16일 개최
                
            
        
누군가 순창시장에 가면 피순대를 먹어보라고 했다. 검붉은 선지로 속을 꽉 채워 맛있다고. 순댓국 생각을 해서일까. 시장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가볍다. 순창시장의 장날은 매월 끝자리 1, 6일. 날이면 날마다 열리는 장이 아니기에, 나그네(기자)의 마음은 더욱 부푼다. 초봄의 순창시장에는 쑥, 미나리부터 돼지감자, 냉이 등 갖은 채소가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들기름 짜는 풍경, 숯불구이 김을 파는 트럭, 붉고 노란 꽃을 파는 화훼상도 역시 순창 장날의 풍경이다.
3월의 순창시장은 ‘초록색’
	1
	2
	3
1
말린 호박을 파는 아낙네
2
순창시장에도 봄이 왔다.
3
냉이와 쑥이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1

2
1
장날이 되면 순창시장은 '녹색'으로 물든다.2
말린 돼지감자로 물을 끓여먹으면 구수하다.“아 글씨, 서울꺼정 가져가도 암씨롱도 안 혀.”
채소 좌판 앞에서 망설이길 수 분째. 그득그득한 봄나물을 눈앞에 두고, 머릿속으로 지갑 속 현금을 세는 ‘서울 것’에게 좌판 아주머니가 쐐기를 박는다. 상온에 ‘고대로’ 놔둬도 ‘아무렇지 않다’는 말, 한번 믿어보기로 한다.
 
3월 초 순창시장 장날에는 봄 채소부터 해산물, 공산품까지 한바탕 좌판이 벌어진다. 그중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돼지감자. 뚱딴지라고도 불리는 이 감자는 생김새가 못 생겼다 하여 ‘돼지감자’로 불린다. 현지인의 설명에 따르면 과거 돼지감자는 일부러 기르는 작물은 아니었다고. 밭에서 절로 나면 그만, 아니어도 그만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타지역, 특히 도시민들에게 돼지감자가 인기를 끌자 많이 내다팔게 되었다. 돼지감자는 얼핏 보면 감말랭이같이 생겼지만, 특유의 향으로 구분된다. 구수한 향이 영락없는 ‘땅의 냄새’다. 물에 끓여 차로 마시면 맛이 그만이다.
 
피순대 넣은 순댓국으로 속을 ‘든든히’

임을 이고 가는 순창시장 아낙네의 모습이 정답다.

1

2
1
초장에 들깨가루를 섞어 피순대를 찍어먹으면 맛있다.2
차진 내장과 피순대가 듬뿍 든 순창시장 피순대국밥장 구경을 마치자 시장기가 든다. 드디어 피순대를 맛볼 차례다. 좌판 구경할 때와는 또다른 설렘을 안고 순대골목으로 접어든다. 현재 순창시장에서 영업 중인 순대 가게는 6~7곳. 피순대는 말 그대로 선지순대이다. 영어 이름도 ‘블러드(blood) 소시지.’ 무서운(?) 이름과는 달리 맛은 일품이다. 초장에 들깨가루를 뿌리고 섞으면 그것이 곧 양념장이다. 피순대 하나를 집어 양념장에 찍고, 천천히 씹어본다.
 
일명 ‘서울 순대’라 불리는 당면 순대는 먹었을 때 속이 더부룩해지기 십상인데, 피순대는 다르다. 한 입 먹으면 묵직하고 퍼석거리는 식감이 제법 편안하다. 속을 선지로 만들었으니, 철분 덩어리다. 여자가 먹으면 더 좋다. 인조 껍질 대신 돼지 창자로 만들어, 씹는 거부감도 없다. 국에 들어간 내장들도 하나같이 부드럽고 쫄깃하다. 가장 좋은 건 비릿한 내장 냄새가 나지 않는다는 것. 순대 가게 특유의 누린내가, 이곳 순창의 순대국집에서는 나지 않는다. 그만큼 깨끗한 재료로 온전히 만들었다는 증거일 터다.
 

										글 트래블투데이 이승혜 취재기자
발행2016년 10월 11 일자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
테마리스트 페이지 버튼 테마별 기사리스트 페이지로 이동
				진안군, 7080 감성 더한 
			
테마리스트 해당기사와 같은 테마기사 리스트
테마리스트 바로가기 버튼 테마별 리스트 정보제공
			
			핫마크 콘텐츠에 대한 중요도 정보

			
				콘텐츠호감도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블피플의 반응도				
			
사용방법 안내버튼 설명 페이지 활성화
			
		


				함께하는 트래블피플
				트래블파트너, 슈퍼라이터,
파워리포터, 한줄리포터로 구성된 트래블피플				
			
				스크랩
				마이페이지
스크랩 내역에 저장				
			
				해당기사에 대한 참여
				추가정보나 사진제공, 
 오탈자 등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