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이월드에 가는 날이다. 꼬박 한 달을 준비하고도 자꾸만 뭔가 아쉬워서 결국 어젯밤에 잠을 거의 자지 않고 작업에 몰두했다. 세수를 마치고 거울 앞에 섰는데 눈 밑이 시커멓다. 좀처럼 차분해지지 않는 머리를 매만지다가 이내 그만두었다. 데이트하러 가는 것도 아닌데 단장은 해서 뭐하겠는가.
내 이름은 유현주, 스물세 살, 휴학 후 대학에서 알게 된 언니가 운영하는 옷가게에서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중. 하지만, 오늘의 직업은 젊은 예술가다.
나는 어릴 때부터 이것저것 만드는 것을 좋아했고, 미술 시간이 오면 내가 항상 반에서 최고였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공예를 전공할 생각은 없었다. 만드는 일은 그야말로 취미일 뿐 내 장래희망은 심리학자였다. 그래서 고등학생이 되고부터는 틈날 때마다 심리학 관련 서적을 읽었고, 지금은 유명한 수도권 사립 대학교에서 심리학과를 전공하고 있다. 잠도 줄이고, 코피를 수십 번 쏟아가며 수험 생활을 견딘 끝에 얻어낸 값진 결과다.
그러나 만드는 것을 좋아한다는 사실에도 변화는 없었다. 나는 틈만 나면 팔찌나 머리끈, 선물상자 같은 자질구레한 것들을 만들어 친구들에게 선물하곤 했다. 자질구레하다고는 해도, 십 년 가까이 갈고 닦은 솜씨라 ‘예술 전공해도 되겠네!’라는 농담을 종종 듣기도 한다. 후회하지는 않지만, 역시 아쉽기는 했다. 공부가 잘 되지 않아 우울한 날이면 어김없이 공예를 전공할 걸 그랬다는 생각이 들었다. 롤러코스터처럼, 내 안에서 심리학과 공예가 오르락내리락 하고 있었다.
기회는 우연히 찾아왔다. 나는 아르바이트를 하면서도 언니가 자리를 비울 때면 틈틈이 공예품들을 만들곤 했는데, 단골로 가게에 드나들던 여고생들 중 하나가 여기에 관심을 보인 것이다.
“우와, 언니. 이것도 파는 거예요?”
“아, 아니요. 이건 제가 그냥 취미로 만드는 건데…….”
학교가 아닌 곳에서 칭찬을 듣게 될 줄은 몰랐다. 고맙기도 하고, 뿌듯하기도 해서 만들던 팔찌들 중 가장 마음에 드는 것 하나를 건네주었는데, 다음 날 그 아이가 친구들을 더 데려왔다. 만드는 법을 알려 달라는 아이도 있었고, 그냥 여기서 팔면 안 되냐고 묻는 아이도 있었다.
그 때는 가게에 언니가 있어서, 자칫 곤란해 질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당황한 얼굴로 언니의 표정을 살폈는데, 언니는 ‘그런 재주가 있으면 말을 해 주지 그랬어.’라며 웃었다. 알고 보니 언니도 학생 때부터 취미로 그림을 그리셨는데, 장사를 하시느라 그림을 그리지 못한 지 꽤 오래 됐다는 것이었다. 그리고는 정말로 내가 만든 팔찌를 진열장에 올리고, 그걸 팔아서 나오는 수익은 내 몫으로 해도 좋다고 말했다.
“그러고 보니 현주랑 같이 가고 싶은 곳이 있는데, 이번 주말에 시간 어때?”
어딘가 했더니 놀이공원이었다. 웬 놀이공원인가 하면서도 저녁 시간까지 유채꽃밭과 우방타워를 구경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는데, 해 질 무렵이 다 되어서 언니가 나를 데려간 곳이 바로 젊은 예술 거래소였다. 매주 토요일, 저녁 시간이 되면 이곳에서 젊은 예술가들이 모여 프리마켓을 연다고 했다.
예술가들이라고 해서 굉장한 사람들만 모이는 것은 아니었다. 기타를 치고 노래를 부르며 거리 공연을 하는 사람, 머리띠를 만들어 파는 사람, 나처럼 팔찌를 팔고 있는 사람도 있었다. 언니가 내 어깨에 손을 얹으며 말했다.
“예술이란 게 뭐 별거 있겠어? 내가 만들어 낸 것을 남들이 사랑한다면, 그 사람에게는 예술가 자격이 충분하지 않을까?”
그렇다. 그 곳에서는 나도 예술가가 될 수 있었다. 모두가 기억할만한 걸작을 남길 수는 없어도, 다른 사람들을 기분 좋게 만드는 무언가를 남길 수는 있었다. 젊은 예술가들의 거래소. 젊은 예술가라는 말은 아무리 들어도 기분이 좋다.
묵직한 가방을 챙겨 현관을 나서는데, 거울에 비친 내 모습이 제법 예술가 같아 기분이 좋았다. 컨버스를 구겨 신고 집을 나섰다. 오늘 날씨도 맑음, 바람도 선선함. 모든 게 다 완벽하다. 나는 오늘, 젊은 예술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