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노인네가 몸에 좋은 거라면 눈빛부터 달라지신다니까?”
“그러니까. 저렇게 몸 생각해서 다 어디다 쓰려고 그러나 몰라? 그때 봤어요? 삼계탕 나오는 날. 다들 한 그릇씩 배정 받는데 혼자 배부른데도 두 그릇, 세 그릇씩 먹는 거.”
급식 아주머니가 삼삼오오 모여 할아버지 이야기를 하는 모양이었다. 이 동네에서 이미 유명인사로 이름을 떨친 할아버지는 그저 몸에 좋은 것이라면 앞뒤를 가리지 않으셨다. 아들이 서울대학병원에서 의사로 있고 며느리가 약사라는데도 무엇이 할아버지를 그렇게 만들었을까?
더군다나 할아버지는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렸다. 사람들이 말하기로 소위 자식농사 번지르르하게 지어놓고 왜 저러나 모른다고 했다. 할아버지는 꼭 교회에서 봉사하는 무료급식을 빼놓지 않고 찾아드셨고 마을회관에서 열리는 노인의료봉사에 가장먼저 줄을 서서 진료를 받았다. 그런 날이면 사람들은 어김없이 할아버지 이야기를 했다.
“아니, 아들이 의사인데 용돈을 안주나? 연락도 안하고 사는 거 아니야?”
“누가 아니래요? 꼭 아픈데도 없는데 의료봉사 선생님들 오면 가장먼저 혈압이다 뭐다 심지어는 외과선생님한테 구강검사까지 받더라니 까요.”
“아이고, 노인네가 지금도 정정하고만 얼마나 이 세상 부귀영화를 누리려고 그런데요?”
“누가 알겠어요. 아이고, 저기 오시네.”
할아버지의 시간은 정확했다. 늘 오전 6시에 일어나 30분간 맨손체조를 하고 7시에 아침을 드셨다. 할아버지의 시간은 조금도 흐트러짐이 없었다. 마치 할아버지의 생각처럼.
오늘도 어김없이 할아버지가 제일먼저 와계셨다.
“왜 이리 늦어! 어? 젊은 사람들이 이래 굼떠서야 어디다 쓰겄어?”
“아이고, 할아버님 나오셨어요? 오늘도 목소리가 쩌렁쩌렁 하시네~”
“퍼뜩 가지고 와봐라, 오늘은 어떤 놈이 왔나.”
“오늘은 아주 좋은 놈들로만 골라왔는데, 할아버님께서 가장 먼저 오셨으니까 가장 좋은 걸로 보여드리는 거예요.”
인삼이다. 좋은 놈으로 골라왔다던 남자의 말처럼 실하고 굵었다. 언뜻 보아도 값어치가 나가 보이는 삼이었다. 할아버지는 한 달에 한번 약장사처럼 보이는 사람들을 쫓아다녔다. 물론 남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할아버지의 이런 행동을 놓칠 리 없었다.
“어머, 이제는 인삼이네? 저 할아버지 200살까진 끄떡없겠어.”
“저번에도 인삼 좋은 걸로 하나 사가시는거 봤는데. 이번에 또 사가시네? 인삼주라도 담그시나? 자네가 한번 넌지시 물어봐봐. 어? 궁금하잖아.”
여자는 남자의 등을 떠밀면서 할아버지께로 보냈다.
“아, 할아버지 나오셨어요? 오늘은 와, 인삼 좋네요.”
“그렇지? 일찍 나오길 잘했어 아주. 좋은 놈으로 골랐네.”
“그런데 할아버님은 어떻게 이렇게 정정하세요? 이게 다 인삼 덕분인가 봐요?”
“내가 먹을 거 아니여. 우리 아들 줄 것이지.”
“아드님이요? 아니 아직까지 의사 아드님 몸보신까지 신경 쓰시는 거예요?”
“하이고, 의사는 무슨 의사. 내 소원이 뭔지 아나. 그저 아들보다 딱 하루 더 오래 사는 거라. 몸에 좋다는 거 정신에 좋다는 거 다 먹여 보는 거지 뭐. 더 말하면 뭐하겄어.”
할아버지의 아들은 의대에 입학하고 나서 돌연 사고로 인해 장애판정을 받았다. 동네사람들은
할아버지가 매번 대학병원에 들락날락 하는 일이 아들을 만나러 가는 거라고 생각했을 것이고
할아버지는 아들을 어깨에 짊어지고 살아야 했기에 그 무게를 감당할 만큼의 체력이 필요했다.
할아버지는 괜한 푸념을 늘어놓았다며 씩씩한 걸음으로 집으로 향했다. 할아버지의 뒷모습에서 아들의 그림자가 비췄다.